2016-03-08 정량적 데이터 분석 -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수업내용

정량적 데이터 방법. 행동연구.
선수과목: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 학사
 - 석사
 - 박사
졸업 논문을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끝낼 수 있도록 돕는게 이 과목의 목적.
 
행동 연구에 필요한 연구방법론을 이 수업시간에 배울 것.
과제 5개. 각각 10%. Term Project: 40% (개별 프로젝트를 원칙으로) 실제 데이터를 수집해야함. 데이터 수집 필요. 처음부터 끝까지 리서치 페이퍼를 만들어야 함.
 
Subjective 자료만 써서 논문을 써서 비평을 많이 받음. 그래서 Objective 자료를 활용해서 결과를 내기도 함.
 
Positivist perspective
 - Experiment
 - Survey
Interpretivist perspective
 - Case analysis
 
Quantitative
Qualitative
 
Causal Research : 이론을 만들어 내고 검증하는 것.
Exploratory Research : 탐색적 연구. 머리속에 아무런 프레임 워크가 없이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함. 주로 인터뷰 기반의 리서치.

당신은 왜 다른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합니까? 인터뷰를 하면 팩트들이 나왔겠죠. 이걸 가지고 모델을 만들다던가 원인과 결과의 모델로 만들어 내는겁니다.
Mixed Method가 많이 나옵니다. 두 가지 방법을 섞어서 하는 겁니다.
기존 문헌말고 Causal Research 하는 방법은? 기존 문헌에서 변수를 찾아내는 건 B급 저널에서 많이 나오는 방법이죠. A급 저널에서는 그렇지 않아요.
Descriptive Research와 Causal Research는 전혀 달라요. 가설간의 관계가 Causal Research 에선 반드시 나옴. 이거 구분을 잘해야함. 무슨 Theory 관련된 이슈가 있지? 이런걸 잘 생각해봐야해요. Descriptive Research 는 전부 숫자로 되어 있어요. 단순한 correlation 관계인지 causal 관계인지 명확하지 않아요. 그게 연구가 아니라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관점이 다르다는 거죠. 본 연구에서는 Causal Research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할 것임.
 
Causal 의 4가지 요구조건

원인과 결과에 해당하는 것들을 반드시 유의하고 관계를 만들어야 함.
 
Experiment Design(실험디자인) - 외부 요인들을 영향을 덜 받게 컨트롤 해서 측정하는 거. 장점은 외부 조건을 차단. 단점은 실제 상황과 괴리.
변수의 갯수가 적은거는 Experiment 가 적합.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개별로 프로젝트 진행.

 
 - 일단 앱을 깔게 하자. adaption
 -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계속 쓰게 하는가 Continous
 - 구매를 하도록
그럼 어떤게 가장 중요한가?
 
비즈니스 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거나 사회적으로 크게 바꿀 수 있는 토픽.
  1. 제시간에 졸업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셔야 해요.
Theory oriented research vs Literature oriented research
 
논문을 평가하는 기준 4가지

New 가 정말 중요함. TAM으로 쓰지 말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기존 연구에 대비해 뭐가 다른지 설명할 수 있어야함.
Interesting 어떤 의의를 지니는가. Relevance 실질적으로 얼마나 주는가. Timeliness 지금 과연 그게 중요한 이슈인가. 그리고 박사 과정의 경우는, 트렌드가 과연 얼마나 오래갈 것인가도 생각해봐야함. 논문 평가를 들어갔는데, 수정 후 재심사 까지 최대 3년까지 걸릴 수 있는데 3년 뒤에 해당 내용이 제대로 반영이 안될 수도 있음.
Presentation 논문이 잘 서술되었는가. Case Study 같은 경우에 글을 잘 써야함.
Correctness 방법론이나 이런게 잘 적용되었는가.
 
Introduction이 중요함. 정말. 평균 탑 저널에 가는건 26번 수정.
 
새로운 변수를 제시. -> 기존 연구와 어떻게 다른지 설명을 해야함.
Support 된 변수들, 기존 문헌에서 가져온 경우 unique한 finding은 무엇인지.

비즈니스 리처시 흐름
 

 
Phenomenon : 현상과 관련된 정보 수집이 먼저. 뉴스, 리포트 등.
아카데미 리서치는 좁고 깊게 들어가야 함. 저널이나 컨퍼런스 보면 call for paper를 보면 가장 쉽게 Topic을 볼 수 있음. 어떤 분야에서 어떤 페이퍼들을 받고 있는지를 보면 좋음.
논문 쓰는 데에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들 Topic Selection, Data collection, Paper work
 
 

+ Recent posts